13. 서브클래싱과 서브타이핑
20 Jan 2024 | Objects
13. 서브클래싱과 서브타이핑
- 상속의 두가지 용도
- 타입 계층 구현 : 부모 클래스는 일반적인 개념 구현 (일반화 generalization), 자식 클래스는 특수한 개념 구현(특수화 specialization)
- 코드 재사용 : 간단한 선언만으로 부모 클래스의 코드 재사용 가능, 하지만 부모 클래스와 자식 클래스가 강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변경하기 어려운 코드를 얻게 될 확률이 높다.
- 상속을 사용하는 일차적인 목표는 코드 재사용이 아니라 타입 계층을 구현하는 것이어야 함
- 결론부터 말하자면 동일한 메시지에 대해 서로 다르게 활동할 수 있는 다형적인 객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객체의 행동을 기반으로 타입 계층을 구성해야 함
- 타입 사이의 관계를 고려하지 않은 채 단순히 코드를 재사용하기 위해 상속을 사용해서는 안된다.
13.1 타입
개념 관점의 타입
- 우리가 인지하는 세상의 사물의 종류
- 자바, 루비, 자바스크립트, C : 프로그래밍 언어 -> 프로그래밍 언어라는 타입으로 분류
- 어떤 대상이 타입으로 분류될 때, 그 대상을 타입의 인스턴스(instance)라고 부름
- 일반적으로 타입의 인스턴스를 객체라고 부름
- Martin98, Larman04
- 심볼(symbol) : 타입에 이름을 붙인 것
- 내연(intention) : 타입의 정의로서 타입에 속하는 객체들이 가지는 공통적인 속성이나 행동
- 외연(extension) : 타입에 속하는 객체들의 집합
프로그래밍 언어 관점의 타입
- 연속적인 비트에 의미와 제약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
타입에 수행될 수 있는 유효한 오퍼레이션의 집합을 정의
- 자바에서
+
연산자는 원시형 숫자 타입이나 문자열 타입의 객체에는 사용할 수 있지만, 다른 클래스의 인스턴스에 대해서는 사용할 수 없음
- 하지만 C++와 C#에서는 연산자 오버로딩을 통해
+
연산자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
- 모든 객체지향 언어들을 객체의 타입에 따라 적용 가능한 연산자의 종류를 제한함으로써 프로그래머의 실수를 막아줌
타입에 수행되는 오퍼레이션에 대해 미리 약속된 문맥을 제공
- 예를 들어 자바에서
a + b
라는 연산이 있을 때 a
와 b
의 타입이 int
라면 두 수를 더할 것, 하지만 a
와 b
의 타입이 String
이라면 두 문자열을 하나의 문자열로 합칠 것
- 객체를 다루는 방법에 대한 문맥을 결정하는 것은 바로 객체의 타입임
객체지향 패러다임 관점의 타입
- 타입이란
- 개념 관점에서 타입이란 콩통의 특징을 공유하는 대상들의 분류
- 프로그래밍 언어 관점에서 타입이란 동일한 오퍼레이션을 적용할 수 있는 인스턴스들의 집합
-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오퍼레이션은 객체가 수신할 수 있는 메시지를 의미
- 객체의 타입이란 객체가 수신할 수 있는 메시지의 종류를 정의하는 것 -> 퍼블릭 인터페이스
객체의 퍼블릭 인터페이스가 객체의 타입을 결정한다. 따라서 동일한 퍼블릭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객체들은 동일한 타입으로 분류된다
- 객체에게 중요한 것은 속성이 아니라 행동
- 객체들이 동일한 상태를 가지고 있더라도 퍼블릭 인터페이스가 다르다면 이들은 서로 다른 타입으로 분류
- 객체가 외부에 제공하는 행동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
13.2 타입 계층
타입 사이의 포함관계
- 프로그래밍 언어 타입은 객체지향 언어 타입과 절차적 언어 타입을 포함
- 객체지향 언어 타입은 클래스 기반 언어 타입과 프로토타입 기반 언어 타입을 포함
- 동인한 인스턴스가 하나 이상의 타입으로 분류되는 것도 가능 -> 자바는 프로그래밍 언어인 동시에 객체지향 언어에 속하며 크래스 기반 언어이다
- 타른 타입을 포함하는 타입은 포함되는 타입보다 좀 더 일반화된 의미를 표현할 수 있음
- 다른 타입을 포함하는 타입은 포함되는 타입보다 더 많은 인스턴스를 가짐
- 포함하는 타입은 외연 관점에서는 더 크고 내연 관점에서는 더 일반적
- 포함되는 타입은 외연 관점에서는 더 작고 내연 관점에서는 더 특수함
- 타입 계층을 구성하는 두 타입 관계에서 더 일반적인 타입을 슈퍼타입(supertype)
- 더 특수한 타입을 서브타입(subtype)
- 일반화 -> 좀 더 보편적이고 추상적으로 만드는 과정
- 특수화 -> 어떤 타입의 정의를 좀 더 구체적이고 문맥 종속적으로 만드는 과정
- Martin 98
- 일반화는 다른 타입을 와전히 포함하거나 내포하는 타입을 식별하는 행위 또는 그 행위의 결과를 가리킴
- 특수화는 다른 타입 안데 전체적으로 포함되거나 완전히 내포되는 타입을 식별하는 행위 또는 그 행위의 결과를 가리킴
객체지향 프로그래밍과 타입 계층
- 슈퍼타입이란 서브타입이 정의한 퍼블릭 인터페이스를 일반화시켜 상대적으로 범용적이고 넓은 의미로 정의한 것
- 서브타입이란 슈퍼타입이 정의한 퍼블릭 인터페이스를 특수화시켜 상대적으로 구체적이고 좁은 의미로 정의한 것
- 서브타입의 인스턴스는 슈퍼타입의 인스턴스로 간주될 수 있다 -> 핵심, 상속과 다형성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한 출발점
13.3 서브클래싱과 서브타이핑
-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타입 구현 -> 클래스 사용, 타입 계층 구현 -> 상속 이용
언제 상속을 사용해야 하는가?
- 다음 두 가지 질문에 모두 “예”라고 대답 가능 해야 함
상속 관계가 is-a 관계를 모델링 하는가?
- 일반적으로 “자식 클래스는 부모 클래스다” 라고 말해도 이상하지 않다면 상속을 사용할 후보로 간주 가능
클라이언트 입장에서 부모 클래스의 타입으로 자식 클래스를 사용해도 무방한가?
- 상속 계층을 사용하는 클라이언트의 입장에서 부모 클래스와 자식 클래스의 차이점을 몰라야 한다
- 이를 자식 클래스와 부모 클래스 사이의 행동 호환성이라고 부름
- 클라이언트의 관점에서 두 클래스에 대해 기대하는 행동이 다르다면 비록 그것이 어휘적으로 is-a 관계로 표현할 수 있다고 해도 상속을 사용해서는 안됨
is-a 관계
- 새는 펭귄이지만 날 수 없음
- 클라이언트가 새에 대해 기대하는 행동이 “나는 것”이라면 펭귄은 새를 상송해서는 안됨
행동 호환성
- 행동의 호환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은 클라이언트의 관점
Penguin
이 Bird
의 서브타입이 아닌 이유는 클라이언트의 입장에서 모든 새가 날 수 있다고 가정하기 때문
public void flyBird(Bird bird) {
// 인자로 전달된 모든 bird는 날 수 있어야 함
bird.fly();
}
- 현재
Penguin
은 bird
의 자식 클래스이기 때문에 컴파일러는 업캐스팅을 허용
- 따라서
flyBird
메서드의 인자로 Penguin
의 인스턴스가 전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이 없음
- 하지만
Penguin
은 날 수 없고, 클라이언트는 모든 bird
가 날 수 있기를 기대하기 때문에 flyBird
메서드로 전달돼서는 안됨
- 따라서 이 둘을 상속 관계로 연결한 위 설계는 수정되어야함
- 어거지로 수정 안하고 쓴다면?
방법 1. 오버라이딩해서 내부 구현 비우기
public class Penguin extends Bird {
...
@Override
public void fly() {}
}
- 이 방법은 어떤 행동도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모든
bird
가 날 수 있다는 클라이언트의 기대를 만족시키지 못함
방법 2. Penguindml fly 메서드를 오버라이딩한 후 예외를 던짐
pbulic class Penguin extends Bird {
...
@Override
public void fly() {
throw new UnsupprotedOperationException();
}
}
- 클라이언트는
flyBird
에서 예외가 발생할 것을 기대하지 않음
방법 3. flyBird 수정해서 인자가 Penguin
이 아닐 경우에만 fly 메시지 전송
public boid flyBird(Bird bird) {
// 인자로 전달된 모든 birtd가 Penguin의 인스턴스가 아닐 경우에만
// fly() 메시지 전송
if (!(bird instanceof Penguin)) {
bird.fly();
}
}
- 또 다른 날지 못하는 새가 상속 계층에 추가된다면? if문 추가… -> 개방-폐쇄 원칙 위반
클라이언트의 기대에 따라 계층 분리하기
- 다음 코드는 새에는 날 수 있는 새와 없는 새 두 분류가 존재하며, 그 중 펭귄은 날 수 없는 새에 속한다는 사실을 표현
public class Bird {
...
}
public class FlyingBird extends Bird {
public void fly() {...}
...
}
public class Penguin extends Bird{
...
}
public void flyBird(FlyingBird bird) {
bird.fly();
}
- 이제
flyBird
메서드는 FlyingBird
타입을 이용해 날 수 있는 새만 인자로 전달돼야 한다는 사실을 코드에 명시 가능
- 이 문제를 해결하는 다른 방법은 클라이너트에 따라 인터페이스를 분리하는 것
- 만약
Bird
가 날 수 있으면서 걸을 수도 있어야 하고, Penguin
은 오직 걸을 수만 있다고 가정
- 가장 좋은 방법은
fly
오퍼레이션을 가진 Flyer
인터페이스와 walk
오퍼레이션을 가진 Walker
인터페이스로 분리하는 것
- 더 좋은 방법은 합성을 사용하는 것
- 이처럼 인터페이스를 클라이언트 기대에 따라 분리함으로써 변경에 의해 영향을 제어하는 설계 원칙을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 (Interface Segregation Principle, ISP) 이라고 부름
- 자연어에 현혹되지 말고 요구사항 속에서 클라이언트가 기대하는 행동에 집중하라
- 크래스의 이름 사이에 어떤 연관성이 있다는 사실은 아무런 의미도 없다
- 두 클래스 사이에 행동이 호환되지 않는다면 올바른 타입 계층이 아니기 때문에 상속을 사용해서는 안된다
서브클래싱과 서브타이핑
서브클래싱(subclassing)
- 다른 클래스의 코드를 재사용할 목적으로 상속을 사용하는 경우
- 자식 클래스와 부모 클래스의 행동이 호환되지 않기 때문에 자식 클래스의 인스턴스가 부모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대체할 수 없음
- 구현 상속 (implementation inheritance) 또는 클래스 상속(class inheritance)이라고 부르기도 함
서브타이핑(subtyping)
- 타입 계층을 구성하기 위해 상속을 사용하는 경우
- 서브타이핑에서는 자식 클래스와 부모 클래스의 행동이 호환되기 때문에 자식 클래스의 인스턴스가 부모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대체할 수 있음
- 서브타이핑을 인터페이스 상속(interface inheritance) 이라고 부르기도 함
- 서브 클래싱과 서브 타이핑을 나누는 기준은 상속을 사용하는 목적
- 사실 10장에서 나쁜 설계의 예로 든 대부분의 상속은 구현을 재사용하기 위해 사용된 서브클래싱에 속함
추상 클래스를 상속한다는 것은 단순한 코드의 재사용을 위한 상속이 아니라 추상 클래스가 정의하고 있는 인터페이스를 상속하겠다는 의미인 것이다 [GOF 1994]
- 슈퍼타입과 서브타입 사이의 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퍼블릭 인터페이스이다.
- 슈퍼타입 인스턴스를 요구하는 모든 곳에서 서브타입의 인스턴스를 대신 사용하기 위해 만족해야 하는 최소한의 조건은 서브타입의 퍼블릭 인터페이스가 슈퍼타입에서 정의한 퍼블릭 인터페이스와 동일하거나 더 많은 오퍼레이션을 포함해야 함
- 서브타이핑 관계가 유지되지 위해서는 서브타입이 슈퍼타입이 하는 모든 행동을 동일하게 할 수 있어야 한다 -> 행동 호환성 만족, 대체 가능성(substitutability)
- 위 지침은 리스코프 치환 원칙이라는 이름으로 정리되어 소개되어 왔다
13.4 리스코프 치환 원칙
- 상속 관계로 연결한 두 클래스가 서브 타이핑 관계를 만족 시키려면
여기서 요구되는 것은 다음의 치환 속성과 같은 것이다. S형의 각 객체 o1에 대해 T형의 객체 o2가 하나 있고, T에 의해 정의된 모든 프로그램 P에서 T가 S로 치환될 때, P의 동작이 변하지 않으면 S는 T의 서브타입이다.
- 서브타입은 그것의 기반 타입에 대해 대체 가능해야 한다
- 클라이언트가 차이점을 인식하지 못한 채 기반 클래스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브플래스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
- 10장에서 살펴본
Stack
과 Vector
는 리스코프 치환 원칙을 위반하는 전형적인 예다
- 클라이언트가 부모 클래스인
Vector
에 대해 기대하는 행동을 Stack
에 대해서는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행동 호환성을 만족시키지 않기 떄문
- 정사각형은 직사각형이다 예 -> 454p ~ 457p 참조
클라이언트와 대체 가능성
- 클라이언트 입장에서 정사각형을 추상화한
Square
는 직사각형을 추상화한 Rectangle
과 동일하지 않다는 점
- 클라이언트 코드에서
Rectangle
을 Square
로 대체할 경우 Rectangle
에 대해 세워진 가정을 위반할 확률이 높다
Stack
과 Vector
가 서브 클래싱 관계인 이유도 상속으로 인해 Stack
에 포함돼서는 안되는 Vector
의 퍼블릭 인터페이스가 Stack
의 퍼블릭 인터페이스에 포함됐기 때문
- 클라이언트와 격리한 채로 본 모델을 의미 있게 검증하는 것이 불가능하다[Martin02]
- 대체 가능성을 결정하는 정은 클라이언트다
is-a 관계 다시 살펴보기
- is-a는 클라이언트 관점에서 is-a일 때만 참이다
- is-a 관계 역시 행동이 우선임
리스코프 치환 원칙은 유연한 설계의 기반이다
- 새로운 자식 클래스를 추가하더라도 클라이언트 입장에서 동일하게 행동하기만 한다면 클라이언트를 수정하지 않고도 상속 계층을 확장 할 수 있다
- 클라이언트의 입장에서 퍼블릭 인터페이스의 행동 방식이 변경되지 않는다면 클라이언트의 코드를 변경하지 않고도 새로운 자식 클래스와 협력할 수 있다
- 의존성 역전 원칙
- 리스코프 치환 원칙
- 개방-폐쇄 원칙
타입 계층과 리스코프 치환 원칙
- 클래스 상속은 타입 계층을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 중 하나일 뿐
- 자바와 C#의 인터페이스, 스칼라의 트레이트, 동적 타입 언더의 덕 타이핑 등의 기법을 사용하면 클래스 사이의 상속을 사용하지 않고 서브파이핑 관계를 구현할 수 있음
- 리스코프 치환 원칙을 위반하는 예를 설명하는 데 클래스의 상속을 자주 사용하는 이유는 대부분의 객체 지향 언어가 구현 단위로서 클래스를 사용하고 코드 재사용의 목적으로 상속을 지나치게 남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
13.5 계약에 의한 설계와 서브타이핑
-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읭 협력을 의무(obligation)와 이익(benefit)으로 구성된 계약의 관점에서 표현하는 것을 계약에 의한 설계(Design By Contract, DBC)라고 부른다
- 클라이언트가 정상적으로 메서드를 실행하기 위해 만족시켜야하는 사전조건(precondition)과 메서드가 실행된 후에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보장해야 하는 사후조건(postcondition), 메서드 실행 전과 실행 후에 인스턴스가 만족시켜야 하는 클래스 불변식(class invariant)의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됨
- 리스코프 치환 원칙과 계약에 의한 설계 사이의 관계를 다음과 같은 한 문장으로 요약 가능
서브타입이 리스코프 치환 원칙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클라이언트와 슈퍼타입 간에 체결된 “계약”을 준수해야 한다
- 이해를 돕기 위해 영화 예매 시스템에서
DiscountPolicy
와 협력하는 Movie
클래스를 예로 들어보자
public class Movie {
...
public Money calculateMovieFee(Screening screening) {
return fee.minus(discountPolicy.calculateDiscountAmount(screening));
}
}
Movie
는 DiscountPolicy
의 인스턴스에게 calculateDiscountAmount
메시지를 전송하는 클라이언트다. DiscountPolicy
는 Movie
의 메시지를 수신한 후 할인 가격을 계산해서 반환한다
public abstract class DiscountPolicy {
public Money calculateDiscountAmount(Screening screening) {
for(DiscountCondition each : conditions) {
if (each.isSatisfiedBy(Screening)) {
return getDiscountAmount(screening);
}
}
return screening.getMovieFee();
}
abstract protected Money getDiscountAmount(Screening screening);
}
- DBC에 따르면 협력하는 클라이언트와 슈퍼타입의 인스턴스 사이에는 어떤 계약이 맺어져 있다. 클라이언트와 슈퍼타입은 이 계약을 준수할 때만 정상적으로 협력할 수 있음
- 서브타입이 슈퍼타입처럼 보일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클라이언트가 슈퍼타입과 맺은 계약을 서브타입이 준수하는 것 뿐
- 위 코드에서 암묵적인 사전조건과 사후조건이 존재
- 사전 조건
DiscountPolicy
의 calculateDiscountAmount
메서드는 인자로 전달된 screening
이 null
인지 여부를 확인하지 않음
- 하지만
screening
에 null
이 전달된다면 screening.getMovieFee()
가 실행될 때 NullPointerException
예외가 던져질 것
- 단정문을 통해 사전조건 표현 가능
assert screening != null && screening.getStartTime().isAfter(LocalDateTime.now())
- 사후 조건
Movie
의 calcualationMovieFee
메서드를 살펴보면 DiscountPolicy
의 calculationDiscountAmount
메서드의 반환값은 항상 null
이 아니어야 한다. 추가로 반환되는 값은 청구되는 요금이기 때문에 0원보다 커야 한다
assert amount != null && amount.isGreaterThanOrEqual(Money.ZERO);
public abstract class DiscountPolicy {
public Money calculateDiscountAmount(Screening screening) {
checkPrecondition(screening);
Money amount = Money.ZERO;
for(DiscountCondition each : conditions) {
if (each.isSatisfiedBy(Screening)) {
amount = getDiscountAmount(screening);
checkPostcondition(amount);
return amount;
}
}
amount = screening.getMovieFee();
checkPostcondition(amount);
return amount;
}
protected void checkPrecondition(Screening screening) {
assert screening != null && screening.getStartTime().isAfter(LocalDateTime.now());
}
protected void checkPostcondition(Money amount) {
assert amount != null && amount.isGreaterThanOrEqual(Money.ZERO);
}
abstract protected Money getDiscountAmount(Screening screening);
}
public class Movie {
...
public Money calculateMovieFee(Screening screening) {
if (screening == null || screening.getStartTime().isBefore(LocalDateTime.now())) {
throw new InvalidScreeningException();
}
return fee.minus(discountPolicy.calculateDiscountAmount(screening));
}
}
서브타입과 계약
- 계약의 관점에서 상속이 초래하는 가장 큰 문제는 자식 클래스가 부모 클래스의 메서드를 오버라이딩할 수 있다는 것
- 서브타입이 계약조건을 만족하려면?
서브타입에 더 강력한 사전조건을 정의할 수 없다
서브타입에 슈퍼타입과 같거나 더 약한 사전조건을 정의할 수 있다.
서브타입에 슈퍼타입과 같거나 더 강한 사후조건을 정의할 수 있다
서브타입에 슈퍼타입과 더 약한 사후조건을 정의할 수 없다
13. 서브클래싱과 서브타이핑
- 상속의 두가지 용도
- 타입 계층 구현 : 부모 클래스는 일반적인 개념 구현 (일반화 generalization), 자식 클래스는 특수한 개념 구현(특수화 specialization)
- 코드 재사용 : 간단한 선언만으로 부모 클래스의 코드 재사용 가능, 하지만 부모 클래스와 자식 클래스가 강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변경하기 어려운 코드를 얻게 될 확률이 높다.
- 상속을 사용하는 일차적인 목표는 코드 재사용이 아니라 타입 계층을 구현하는 것이어야 함
- 결론부터 말하자면 동일한 메시지에 대해 서로 다르게 활동할 수 있는 다형적인 객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객체의 행동을 기반으로 타입 계층을 구성해야 함
- 타입 사이의 관계를 고려하지 않은 채 단순히 코드를 재사용하기 위해 상속을 사용해서는 안된다.
13.1 타입
개념 관점의 타입
- 우리가 인지하는 세상의 사물의 종류
- 자바, 루비, 자바스크립트, C : 프로그래밍 언어 -> 프로그래밍 언어라는 타입으로 분류
- 어떤 대상이 타입으로 분류될 때, 그 대상을 타입의 인스턴스(instance)라고 부름
- 일반적으로 타입의 인스턴스를 객체라고 부름
- Martin98, Larman04
- 심볼(symbol) : 타입에 이름을 붙인 것
- 내연(intention) : 타입의 정의로서 타입에 속하는 객체들이 가지는 공통적인 속성이나 행동
- 외연(extension) : 타입에 속하는 객체들의 집합
프로그래밍 언어 관점의 타입
- 연속적인 비트에 의미와 제약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
타입에 수행될 수 있는 유효한 오퍼레이션의 집합을 정의
- 자바에서
+
연산자는 원시형 숫자 타입이나 문자열 타입의 객체에는 사용할 수 있지만, 다른 클래스의 인스턴스에 대해서는 사용할 수 없음 - 하지만 C++와 C#에서는 연산자 오버로딩을 통해
+
연산자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 - 모든 객체지향 언어들을 객체의 타입에 따라 적용 가능한 연산자의 종류를 제한함으로써 프로그래머의 실수를 막아줌
타입에 수행되는 오퍼레이션에 대해 미리 약속된 문맥을 제공
- 예를 들어 자바에서
a + b
라는 연산이 있을 때a
와b
의 타입이int
라면 두 수를 더할 것, 하지만a
와b
의 타입이String
이라면 두 문자열을 하나의 문자열로 합칠 것 - 객체를 다루는 방법에 대한 문맥을 결정하는 것은 바로 객체의 타입임
객체지향 패러다임 관점의 타입
- 타입이란
- 개념 관점에서 타입이란 콩통의 특징을 공유하는 대상들의 분류
- 프로그래밍 언어 관점에서 타입이란 동일한 오퍼레이션을 적용할 수 있는 인스턴스들의 집합
-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오퍼레이션은 객체가 수신할 수 있는 메시지를 의미
- 객체의 타입이란 객체가 수신할 수 있는 메시지의 종류를 정의하는 것 -> 퍼블릭 인터페이스
객체의 퍼블릭 인터페이스가 객체의 타입을 결정한다. 따라서 동일한 퍼블릭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객체들은 동일한 타입으로 분류된다
- 객체에게 중요한 것은 속성이 아니라 행동
- 객체들이 동일한 상태를 가지고 있더라도 퍼블릭 인터페이스가 다르다면 이들은 서로 다른 타입으로 분류
- 객체가 외부에 제공하는 행동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
13.2 타입 계층
타입 사이의 포함관계
- 프로그래밍 언어 타입은 객체지향 언어 타입과 절차적 언어 타입을 포함
- 객체지향 언어 타입은 클래스 기반 언어 타입과 프로토타입 기반 언어 타입을 포함
- 동인한 인스턴스가 하나 이상의 타입으로 분류되는 것도 가능 -> 자바는 프로그래밍 언어인 동시에 객체지향 언어에 속하며 크래스 기반 언어이다
- 타른 타입을 포함하는 타입은 포함되는 타입보다 좀 더 일반화된 의미를 표현할 수 있음
- 다른 타입을 포함하는 타입은 포함되는 타입보다 더 많은 인스턴스를 가짐
- 포함하는 타입은 외연 관점에서는 더 크고 내연 관점에서는 더 일반적
- 포함되는 타입은 외연 관점에서는 더 작고 내연 관점에서는 더 특수함
- 타입 계층을 구성하는 두 타입 관계에서 더 일반적인 타입을 슈퍼타입(supertype)
- 더 특수한 타입을 서브타입(subtype)
- 일반화 -> 좀 더 보편적이고 추상적으로 만드는 과정
- 특수화 -> 어떤 타입의 정의를 좀 더 구체적이고 문맥 종속적으로 만드는 과정
- Martin 98
- 일반화는 다른 타입을 와전히 포함하거나 내포하는 타입을 식별하는 행위 또는 그 행위의 결과를 가리킴
- 특수화는 다른 타입 안데 전체적으로 포함되거나 완전히 내포되는 타입을 식별하는 행위 또는 그 행위의 결과를 가리킴
객체지향 프로그래밍과 타입 계층
- 슈퍼타입이란 서브타입이 정의한 퍼블릭 인터페이스를 일반화시켜 상대적으로 범용적이고 넓은 의미로 정의한 것
- 서브타입이란 슈퍼타입이 정의한 퍼블릭 인터페이스를 특수화시켜 상대적으로 구체적이고 좁은 의미로 정의한 것
- 서브타입의 인스턴스는 슈퍼타입의 인스턴스로 간주될 수 있다 -> 핵심, 상속과 다형성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한 출발점
13.3 서브클래싱과 서브타이핑
-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타입 구현 -> 클래스 사용, 타입 계층 구현 -> 상속 이용
언제 상속을 사용해야 하는가?
- 다음 두 가지 질문에 모두 “예”라고 대답 가능 해야 함
상속 관계가 is-a 관계를 모델링 하는가?
- 일반적으로 “자식 클래스는 부모 클래스다” 라고 말해도 이상하지 않다면 상속을 사용할 후보로 간주 가능
클라이언트 입장에서 부모 클래스의 타입으로 자식 클래스를 사용해도 무방한가?
- 상속 계층을 사용하는 클라이언트의 입장에서 부모 클래스와 자식 클래스의 차이점을 몰라야 한다
- 이를 자식 클래스와 부모 클래스 사이의 행동 호환성이라고 부름
- 클라이언트의 관점에서 두 클래스에 대해 기대하는 행동이 다르다면 비록 그것이 어휘적으로 is-a 관계로 표현할 수 있다고 해도 상속을 사용해서는 안됨
is-a 관계
- 새는 펭귄이지만 날 수 없음
- 클라이언트가 새에 대해 기대하는 행동이 “나는 것”이라면 펭귄은 새를 상송해서는 안됨
행동 호환성
- 행동의 호환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은 클라이언트의 관점
Penguin
이Bird
의 서브타입이 아닌 이유는 클라이언트의 입장에서 모든 새가 날 수 있다고 가정하기 때문
public void flyBird(Bird bird) {
// 인자로 전달된 모든 bird는 날 수 있어야 함
bird.fly();
}
- 현재
Penguin
은bird
의 자식 클래스이기 때문에 컴파일러는 업캐스팅을 허용 - 따라서
flyBird
메서드의 인자로Penguin
의 인스턴스가 전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이 없음 - 하지만
Penguin
은 날 수 없고, 클라이언트는 모든bird
가 날 수 있기를 기대하기 때문에flyBird
메서드로 전달돼서는 안됨 - 따라서 이 둘을 상속 관계로 연결한 위 설계는 수정되어야함
- 어거지로 수정 안하고 쓴다면?
방법 1. 오버라이딩해서 내부 구현 비우기
public class Penguin extends Bird {
...
@Override
public void fly() {}
}
- 이 방법은 어떤 행동도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모든
bird
가 날 수 있다는 클라이언트의 기대를 만족시키지 못함
방법 2. Penguindml fly 메서드를 오버라이딩한 후 예외를 던짐
pbulic class Penguin extends Bird {
...
@Override
public void fly() {
throw new UnsupprotedOperationException();
}
}
- 클라이언트는
flyBird
에서 예외가 발생할 것을 기대하지 않음
방법 3. flyBird 수정해서 인자가 Penguin
이 아닐 경우에만 fly 메시지 전송
public boid flyBird(Bird bird) {
// 인자로 전달된 모든 birtd가 Penguin의 인스턴스가 아닐 경우에만
// fly() 메시지 전송
if (!(bird instanceof Penguin)) {
bird.fly();
}
}
- 또 다른 날지 못하는 새가 상속 계층에 추가된다면? if문 추가… -> 개방-폐쇄 원칙 위반
클라이언트의 기대에 따라 계층 분리하기
- 다음 코드는 새에는 날 수 있는 새와 없는 새 두 분류가 존재하며, 그 중 펭귄은 날 수 없는 새에 속한다는 사실을 표현
public class Bird {
...
}
public class FlyingBird extends Bird {
public void fly() {...}
...
}
public class Penguin extends Bird{
...
}
public void flyBird(FlyingBird bird) {
bird.fly();
}
- 이제
flyBird
메서드는FlyingBird
타입을 이용해 날 수 있는 새만 인자로 전달돼야 한다는 사실을 코드에 명시 가능
- 이 문제를 해결하는 다른 방법은 클라이너트에 따라 인터페이스를 분리하는 것
- 만약
Bird
가 날 수 있으면서 걸을 수도 있어야 하고,Penguin
은 오직 걸을 수만 있다고 가정 - 가장 좋은 방법은
fly
오퍼레이션을 가진Flyer
인터페이스와walk
오퍼레이션을 가진Walker
인터페이스로 분리하는 것
- 더 좋은 방법은 합성을 사용하는 것
- 이처럼 인터페이스를 클라이언트 기대에 따라 분리함으로써 변경에 의해 영향을 제어하는 설계 원칙을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 (Interface Segregation Principle, ISP) 이라고 부름
- 자연어에 현혹되지 말고 요구사항 속에서 클라이언트가 기대하는 행동에 집중하라
- 크래스의 이름 사이에 어떤 연관성이 있다는 사실은 아무런 의미도 없다
- 두 클래스 사이에 행동이 호환되지 않는다면 올바른 타입 계층이 아니기 때문에 상속을 사용해서는 안된다
서브클래싱과 서브타이핑
서브클래싱(subclassing)
- 다른 클래스의 코드를 재사용할 목적으로 상속을 사용하는 경우
- 자식 클래스와 부모 클래스의 행동이 호환되지 않기 때문에 자식 클래스의 인스턴스가 부모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대체할 수 없음
- 구현 상속 (implementation inheritance) 또는 클래스 상속(class inheritance)이라고 부르기도 함
서브타이핑(subtyping)
- 타입 계층을 구성하기 위해 상속을 사용하는 경우
- 서브타이핑에서는 자식 클래스와 부모 클래스의 행동이 호환되기 때문에 자식 클래스의 인스턴스가 부모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대체할 수 있음
- 서브타이핑을 인터페이스 상속(interface inheritance) 이라고 부르기도 함
- 서브 클래싱과 서브 타이핑을 나누는 기준은 상속을 사용하는 목적
- 사실 10장에서 나쁜 설계의 예로 든 대부분의 상속은 구현을 재사용하기 위해 사용된 서브클래싱에 속함
추상 클래스를 상속한다는 것은 단순한 코드의 재사용을 위한 상속이 아니라 추상 클래스가 정의하고 있는 인터페이스를 상속하겠다는 의미인 것이다 [GOF 1994]
- 슈퍼타입과 서브타입 사이의 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퍼블릭 인터페이스이다.
- 슈퍼타입 인스턴스를 요구하는 모든 곳에서 서브타입의 인스턴스를 대신 사용하기 위해 만족해야 하는 최소한의 조건은 서브타입의 퍼블릭 인터페이스가 슈퍼타입에서 정의한 퍼블릭 인터페이스와 동일하거나 더 많은 오퍼레이션을 포함해야 함
- 서브타이핑 관계가 유지되지 위해서는 서브타입이 슈퍼타입이 하는 모든 행동을 동일하게 할 수 있어야 한다 -> 행동 호환성 만족, 대체 가능성(substitutability)
- 위 지침은 리스코프 치환 원칙이라는 이름으로 정리되어 소개되어 왔다
13.4 리스코프 치환 원칙
- 상속 관계로 연결한 두 클래스가 서브 타이핑 관계를 만족 시키려면
여기서 요구되는 것은 다음의 치환 속성과 같은 것이다. S형의 각 객체 o1에 대해 T형의 객체 o2가 하나 있고, T에 의해 정의된 모든 프로그램 P에서 T가 S로 치환될 때, P의 동작이 변하지 않으면 S는 T의 서브타입이다.
- 서브타입은 그것의 기반 타입에 대해 대체 가능해야 한다
- 클라이언트가 차이점을 인식하지 못한 채 기반 클래스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브플래스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
- 10장에서 살펴본
Stack
과Vector
는 리스코프 치환 원칙을 위반하는 전형적인 예다- 클라이언트가 부모 클래스인
Vector
에 대해 기대하는 행동을Stack
에 대해서는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행동 호환성을 만족시키지 않기 떄문
- 클라이언트가 부모 클래스인
- 정사각형은 직사각형이다 예 -> 454p ~ 457p 참조
클라이언트와 대체 가능성
- 클라이언트 입장에서 정사각형을 추상화한
Square
는 직사각형을 추상화한Rectangle
과 동일하지 않다는 점 - 클라이언트 코드에서
Rectangle
을Square
로 대체할 경우Rectangle
에 대해 세워진 가정을 위반할 확률이 높다 Stack
과Vector
가 서브 클래싱 관계인 이유도 상속으로 인해Stack
에 포함돼서는 안되는Vector
의 퍼블릭 인터페이스가Stack
의 퍼블릭 인터페이스에 포함됐기 때문- 클라이언트와 격리한 채로 본 모델을 의미 있게 검증하는 것이 불가능하다[Martin02]
- 대체 가능성을 결정하는 정은 클라이언트다
is-a 관계 다시 살펴보기
- is-a는 클라이언트 관점에서 is-a일 때만 참이다
- is-a 관계 역시 행동이 우선임
리스코프 치환 원칙은 유연한 설계의 기반이다
- 새로운 자식 클래스를 추가하더라도 클라이언트 입장에서 동일하게 행동하기만 한다면 클라이언트를 수정하지 않고도 상속 계층을 확장 할 수 있다
- 클라이언트의 입장에서 퍼블릭 인터페이스의 행동 방식이 변경되지 않는다면 클라이언트의 코드를 변경하지 않고도 새로운 자식 클래스와 협력할 수 있다
- 의존성 역전 원칙
- 리스코프 치환 원칙
- 개방-폐쇄 원칙
타입 계층과 리스코프 치환 원칙
- 클래스 상속은 타입 계층을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 중 하나일 뿐
- 자바와 C#의 인터페이스, 스칼라의 트레이트, 동적 타입 언더의 덕 타이핑 등의 기법을 사용하면 클래스 사이의 상속을 사용하지 않고 서브파이핑 관계를 구현할 수 있음
- 리스코프 치환 원칙을 위반하는 예를 설명하는 데 클래스의 상속을 자주 사용하는 이유는 대부분의 객체 지향 언어가 구현 단위로서 클래스를 사용하고 코드 재사용의 목적으로 상속을 지나치게 남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
13.5 계약에 의한 설계와 서브타이핑
-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읭 협력을 의무(obligation)와 이익(benefit)으로 구성된 계약의 관점에서 표현하는 것을 계약에 의한 설계(Design By Contract, DBC)라고 부른다
- 클라이언트가 정상적으로 메서드를 실행하기 위해 만족시켜야하는 사전조건(precondition)과 메서드가 실행된 후에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보장해야 하는 사후조건(postcondition), 메서드 실행 전과 실행 후에 인스턴스가 만족시켜야 하는 클래스 불변식(class invariant)의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됨
- 리스코프 치환 원칙과 계약에 의한 설계 사이의 관계를 다음과 같은 한 문장으로 요약 가능
서브타입이 리스코프 치환 원칙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클라이언트와 슈퍼타입 간에 체결된 “계약”을 준수해야 한다
- 이해를 돕기 위해 영화 예매 시스템에서
DiscountPolicy
와 협력하는Movie
클래스를 예로 들어보자
public class Movie {
...
public Money calculateMovieFee(Screening screening) {
return fee.minus(discountPolicy.calculateDiscountAmount(screening));
}
}
Movie
는 DiscountPolicy
의 인스턴스에게 calculateDiscountAmount
메시지를 전송하는 클라이언트다. DiscountPolicy
는 Movie
의 메시지를 수신한 후 할인 가격을 계산해서 반환한다
public abstract class DiscountPolicy {
public Money calculateDiscountAmount(Screening screening) {
for(DiscountCondition each : conditions) {
if (each.isSatisfiedBy(Screening)) {
return getDiscountAmount(screening);
}
}
return screening.getMovieFee();
}
abstract protected Money getDiscountAmount(Screening screening);
}
- DBC에 따르면 협력하는 클라이언트와 슈퍼타입의 인스턴스 사이에는 어떤 계약이 맺어져 있다. 클라이언트와 슈퍼타입은 이 계약을 준수할 때만 정상적으로 협력할 수 있음
- 서브타입이 슈퍼타입처럼 보일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클라이언트가 슈퍼타입과 맺은 계약을 서브타입이 준수하는 것 뿐
- 위 코드에서 암묵적인 사전조건과 사후조건이 존재
- 사전 조건
DiscountPolicy
의calculateDiscountAmount
메서드는 인자로 전달된screening
이null
인지 여부를 확인하지 않음- 하지만
screening
에null
이 전달된다면screening.getMovieFee()
가 실행될 때NullPointerException
예외가 던져질 것 - 단정문을 통해 사전조건 표현 가능
assert screening != null && screening.getStartTime().isAfter(LocalDateTime.now())
- 사후 조건
Movie
의calcualationMovieFee
메서드를 살펴보면DiscountPolicy
의calculationDiscountAmount
메서드의 반환값은 항상null
이 아니어야 한다. 추가로 반환되는 값은 청구되는 요금이기 때문에 0원보다 커야 한다assert amount != null && amount.isGreaterThanOrEqual(Money.ZERO);
- 사전 조건
public abstract class DiscountPolicy {
public Money calculateDiscountAmount(Screening screening) {
checkPrecondition(screening);
Money amount = Money.ZERO;
for(DiscountCondition each : conditions) {
if (each.isSatisfiedBy(Screening)) {
amount = getDiscountAmount(screening);
checkPostcondition(amount);
return amount;
}
}
amount = screening.getMovieFee();
checkPostcondition(amount);
return amount;
}
protected void checkPrecondition(Screening screening) {
assert screening != null && screening.getStartTime().isAfter(LocalDateTime.now());
}
protected void checkPostcondition(Money amount) {
assert amount != null && amount.isGreaterThanOrEqual(Money.ZERO);
}
abstract protected Money getDiscountAmount(Screening screening);
}
public class Movie {
...
public Money calculateMovieFee(Screening screening) {
if (screening == null || screening.getStartTime().isBefore(LocalDateTime.now())) {
throw new InvalidScreeningException();
}
return fee.minus(discountPolicy.calculateDiscountAmount(screening));
}
}
서브타입과 계약
- 계약의 관점에서 상속이 초래하는 가장 큰 문제는 자식 클래스가 부모 클래스의 메서드를 오버라이딩할 수 있다는 것
- 서브타입이 계약조건을 만족하려면?
서브타입에 더 강력한 사전조건을 정의할 수 없다 서브타입에 슈퍼타입과 같거나 더 약한 사전조건을 정의할 수 있다. 서브타입에 슈퍼타입과 같거나 더 강한 사후조건을 정의할 수 있다 서브타입에 슈퍼타입과 더 약한 사후조건을 정의할 수 없다
Comments